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

단위가격표시제 알아보기

by 비행 잡학러 2024. 10. 14.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비행잡학러 입니다.

 

요즘 마트에서 아이 과자를 하나 집어들때면 전보다 훨씬 비싸진 가격은 물론, 양은 현저히 작아진 걸 많이 느낍니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가상승을 고려해 보지만 한번씩은 그래도 아쉬운 마음이 드는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슈링크플레이션으로 뉴스화 되기도 했습니다.

슈링크(shrink) + 인플레이션(inflation) 의 합한 말로 

기업들이 제품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크기, 중량을 줄여 간접적으로 가격 인상 효과를 얻으려는 전략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그동안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대규모 점포를 중심으로만 시행되고 있던 단위가격표시제를 

연간 거래금액이 10조원 이상인 대규모 온라인 쇼핑몰에도 단위가격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는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또한 기본 해당품목 기준 84개-->114개 품목으로 확대 개편하였습니다.

이는 1인 가구 증가로 즉석식품 소비증가 및 반려동물 관련 소비 등 새로운 소비트렌드를 반영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 정책은 10월 23일까지 의견을 수렴하여 계도기간을 거쳐 1년 유예기간을 거친 후 의무시행됩니다.

 

단위가격표시제정확한 가격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가령 100g 당 가격 , 1L 당 가격   등으로 표시되며, 소비자들이 제품의 양에 비례한 실제 가격을 비교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한번 우리가 자주 구매하는 우유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 500ml 우유: 1,200원
  • 1L 우유: 2,000원
  • 1.5L 우유: 2,800원    으로 가격표시가 되어있습니다.

단위가격으로 표시해보면 ,

  • 500ml: 1,200원 → 2,400원/1L
  • 1L: 2,000원 → 2,000원/1L
  • 1.5L: 2,800원 → 1,866.67원/1L 

소비자는 1L당 가격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1.5L 우유가 가장 저렴한 선택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더 경제적인 구매 결정을 할 수 있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단위가격을 잘 이용하면 물건의 비교를 더 잘 할 수 있게 되고 경제적으로도 조금 더 절약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로 여러제품의 가격이 복잡하게 표시될 경우, 소비자 입장에서 혼란을 느낄 수 있고 일부 소비자는 이해하지 못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법적 시행에 있어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들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또 단위가격에만 의존하게 되면 , 다른 중요한 요소들( 품질, 브랜드, 사용 후기 등) 을 간과할 수 있어 오히려 비합리적인 소비로 이어질 수 있으니 잘 판단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는만큼 보이고 생활에서 소비는 필수 영역이니 잘 알아두시고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  (0) 2024.11.04
2024 구미라면축제  (0) 2024.11.02
요노족(YONO) 으로의 변화  (10) 2024.10.13
정부 24 주민등록 사실조사 신청 및 과태료  (5) 2024.09.21
2024-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 약국 정보  (3) 2024.09.11